서비스 기획10 4. 서비스 기획자의 전문성 "기획? 아무나 할 수 있는 거잖아?"에 반박하는 방법 들어가기 전에: 이 글은 뛰어난 서비스 기획자가 되고 싶은 학생과 서비스 기획의 전문성을 키우고 싶은 실무자에게 도움이 되는 글입니다. 며칠 전 동기들과 오랜만에 점심을 먹었습니다. 재택근무가 길어져 거의 2개월 만에 보는 것이었습니다. 동기와의 대화는 자연스럽게 회사 생활의 고민으로 이어졌죠. 그때 다른 부서에서 일하는 동기가 던진 충격적인 한 마디. "내가 지금 하는 일은 중학생도 할 수 있는 일이야." 담당 업무의 전문성을 키우지 못한다는 것을 직설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 한 마디로 저 또한 서비스 기획자의 전문성을 고민하게 됐습니다. "과연 내가 하는 일은 중학생이 할 수 없는 일일까?" "서비스 기획자의 전문성은 무엇이지?" 서비스 기획.. 2022. 7. 13. 3. AI 서비스 기획 '인공지능'의 의미? 사람이 만든 생각할 수 있는 능력 빅데이터와 인공지능과의 차이? 빅데이터: 속성이 다양한 데이터로부터 인사이트를 얻어, 사람이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함 인공지능: 데이터를 학습해서 분류, 활용, 도출하여 인공지능이 다른 것을 얻어내는 것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차이? 인공지능: 사람과 같이 생각하는 기능 머신러닝: 인공지능의 분야 딥러닝: 머신러닝의 한계인 사람이 데이터를 넣지 않아도 복 지도학습, 비지도학습, 강화학습의 차이? 지도학습: 정답이 있는 데이터를 활용해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것 비지도학습: 데이터를 비슷한 특징끼리 군집화하여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는 것(데이터만 있는 것) 강화학습: 분류할 수 있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데이터가 있어도 정답이.. 2022. 7. 13. 2. 서비스 기획자의 역량 필요 역량 1. 기술과 통계에 대한 배경 지식 1.1 서비스 기반 기술 이해 입사 후 컨퍼런스나 교육 프로그램 참여 프로젝트 진행시 자료 및 담당자로부터 습득 기술 관련 기사로 트랜드 및 서비스 1.2 통계 기반 인사이트 추출 능력 숫자 근거로 타인 설득 능력 논리적인 사고와 글쓰기/말하기 능력 2. 꼼꼼함 2.1 서비스/UI 시나리오 기획시 세세한 부분 관리 서비스 빈틈은 오류 유발 2.2 서비스 검수로 오류 2.3 이전 프로젝트 task 관리 능력 강조 엑셀로 task 정리하여 처리 3. 추진력 & 커뮤니케이션 능력 3.1 타 부서와의 협업 신규 기획 서비스가 왜 필요한지 어떤 이득이 있는지 설득 개발/디자인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위한 지식 필요 3.2 맡은 서비스를 빨리 출시하려는 의지와 추진력 어.. 2022. 7. 13. 1. 서비스 기획이란? 서비스 기획: 서비스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합한 행동을 설계하는 것 서비스 목표: IT기술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거나 IT 혹은 프로젝트 중심의 비즈니스를 통해 수익을 발생시키는 것 서비스 기획자는? - 디자인과 개발을 제외한 모든 일을 하는 사람으로 서비스가 목표한 대로 출시 되도록 함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의견을 조율하는 역할 "PM, Project Manager"라고도 부르는 만큼 프로젝트 전반을 담당함 서비스 기획자가 하는일은? 1. 서비스 기획 1.1 신규 서비스 기획 연도 별 로드맵 수립 서비스 관련 카운터파트오 사전 협의 예산 조달 및 관리 1.2 기존 서비스 고도화 기존 서비스에서 필요 기능 수선 새로운 아이디어 적용 주요 기능 접근성 향상을 위한 UI 시나리오 및 디자인 수정 1... 2022. 7. 1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