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백엔드-프론트엔드 를 연결한다.
먼저 '로컬 개발환경' 에서 같은 컴퓨터에 서버도 만들고 요청도 하고(클라이언트=서버),
다음엔 mongoDB Atlas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서 서버를 만드려 한다.
Flask 시작하기
★ Flask 프레임워크
서버를 구동시켜주는 편한 고드 모음
서버를 구동하려면 픽요한 복잡한 일들을 쉽게 가져다 쓸 수 있다.
※ 패키지 설치 화면 진입하기
- 윈도우 : 좌상단File → setting → Python interpreter
- 맥 : 좌상단Pycharm → Preference → Python Interpreter
- 통상적으로 flask 서버 돌리는 파일은 app.py로 이름 지음
- @app.route('/') 부분을 수정해서 URL을 나눌 수 있다
: url 별로 함수명이 같거나, route('/')내 주소가 달라야함
HTML 파일 주기
★ Flask 서버 만들때 기초셋팅
프로젝트 폴더 안에,
ㄴstatic 폴더 (이미지, css파일)
ㄴtemplates 폴더 (html파일)
ㄴapp.py 파일
- html 파일 불러오기
: flask 내장함수 render_template 이용
AIP 만들기
API = 창구
클라이언트가 요청할 때 HTTP request method(요청 메소드)로 어떤 요청인지 서버에 정보 전달
1. GET 방식 : 데이터 조회(read)
데이터 전달 : URL 뒤에 물음표 붙여 key=value로 전달
2. POST 방식 : 데이터 생성(create), 변경(update), 삭제(delete)
데이터 전달 : 바로 보이지 않는 HTML body에 key:value 형태로 전달
#1.GET방식
#2. POST방식
★ 온클릭 코드를 안쓰고는 왜 안되는지 한참을 낭비했다.
컨디션 조절을 잘해서 정신 바짝 차려야겠다는 오늘의 깨달음이다
<button onclick="hey()">버튼을 만들자</button>
'웹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일지 / 파이썬 웹스크래핑(크롤링) (0) | 2022.07.17 |
---|---|
개발일지 / Ajax, Open API (0) | 2022.07.17 |
개발일지 / jQuery (0) | 2022.07.14 |
개발일지 / 사용후기 웹페이지 (0) | 2022.07.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