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10 스토리보드 (2) - 기본 스토리보드 기본 순서 01. 목차 : 각 페이지 별로 제목을 기재 한다. 02. 업데이트 기록 : 언제 어떤 페이지를 어떤 내용이 수정 되었는지를 기재, 해당 수정 이슈의 작업을 기재 03. 개요및 정의 : 기획의 목적을 정의 하고, 만들고자 하는 서비스의 운영 정책을 기재 04. 사이트맵 : 각 페이지의 메인 메뉴와 그 메뉴에 귀속된 하위 메뉴를 시각화해서 기재 05.프로세스 : 특정 서비스의 기본 흐름도와 세부 흐름도로 구분되며, 주로 기본 흐름도를 기재한다. 유저의 사용에 따른 서비스의 흐름에 따라 간략히 흐름도를 작성함을 말한다. 06. 전체화면 구성 : 만들고자 하는 페이지의 전체화면 레이아웃을 정리 한다. 07. 영역 별 상세 설명 : 전체화면 구성에 따른 상세한 설명 디자인/기술적 08. 작.. 2022. 7. 20. 스토리보드 (1) - 작성point 잘 써진 웹/앱 기획 및 스토리 보드란? 1. 스토리보드란 ? 웹/앱 개발 및 디자인의 설계서 or 작업 지침서 흐름을 빠르게 파악하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 쓰임 보기 쉽게 제작해야 함 ★ 보기 쉽고, 자세하게 만들어라! 2. 명확해야 한다. 스토리보드를 통해 디자이너는 화면의 디자인의 일러스트 데이터등 드로잉요소를 만든다. 프로그래머는 DB설계와 세부 로직을 코딩한다. 기획자는 스토리보드를 만드는 사람으로 디자인 컨셉, Web Style Guide 디자인 영역과 DB 스키마, 프로세스 로직등 전반적으로 알아야 한다. 기획자는 개발자와 디자이너에게 명확하게 설명하고 전달할 의무가 있으며, 자신만의 생각에 빠지지 말도록 주의 해야 한다. 3. 상세히 작성해야한다. 페이지 내 노출된 정보는 모두 표기 한다. .. 2022. 7. 20. 제안요청서, RFP (Request For Proposal) 제안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는 문서 # 프로젝트 시작 이전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 ① 기업 : IT개발 프로젝트를 지시하는 기본적인 가이드 문서 ② 개발자 : 실제 개발을 수행하는 IT개발자나 에이전시에게는 프로젝트 범위의 가이드 # 프로젝트 완료 후 평가기준 제공 ① 기업 : 실제 요청한 대로 개발이 이루어 졌는지를 확인하는 척도 ② 개발자 : 기업의 요구조건이 반영된 개발결과물 납품과 검수의 표준 RFP(개발 제안 요청서)가 구체화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후 서비스 기획 시 작성될 다양한 문서들이 원점으로 돌아가 검토/ 추가/ 삭제되는 과정이 상상이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 ★ RFP 내용 4가지 1. 개요 2. 구축컨셉 3. 제안요청사항 정의 4. 제안서 작성가이드 정의 2022. 7. 20. 작업 분할 구조도,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더블유비에스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활동과 업무를 세분화하는 작업 = 작업분할구성, 작업분해도 프로젝트 구성 요소들을 계층 구조로 분류하여 프로젝트 전체 범위 정의 프로젝트 작업을 관리하기 쉽도록 작게 세분화 작업 패키지(work package) : 최하위 항목, 해당 업무 담당자를 할당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나눔 # WBS의 목적과 용도 사용자와 개발자 간 의사소통 도구로 사용함. 프로젝트 업무 내역을 가시화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함. 프로젝트 팀원의 책임과 역할이 분명함. 필요 인력과 일정 계획을 세우는 데 기초로 활용함. 개발비 산정 시 기초로 활용함. 성과 측정 및 조정 시 기준선으로 활용할 수 있음. [네이버 지식백과] 작업 분할 구조도(WBS) - 일정 계획의 시작 (쉽게 배우.. 2022. 7. 20. 상세기획(2) - Policy(정책) Policy Service use policy (서비스 이용정책) State value (상태값) - 유저들을 취한 최소한의 정책 Membership system (회원체계) CRUD (페이지 별 CRUD) Grade & Scoring Policy (등급 및 점수정책) 2022. 7. 20. 상세기획(1) - IT기획 상세기획의 목적 1. 이해관계자, 개발자와 원활히 소통할 수 있는 기획서 제작 2. 서비스의 전체적인 플로우부터 세부적인 메뉴구조도, 화면정의서를 통해 기획을 명확히 정의 3. 명확한 기획&소통자료로, 기획 변경사항을 기록하고 명확히 기획을 정의하여 개발 과정에 혼선 방지 내 아이디어를 다른 사람에게 상세히 전달!! IT기획 Document history (문서 히스토리) - 여럿이 기획할 때 필요 - 다른사람의 변경사항 파악 Menu Structure (메뉴구조) Task Flow (테스크 플로우) - 유저 사용의 처음과 끝, 유저 시나리오 - 서비스 전체 플로우 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구조도) 화면상에 노출되는 기능들을 계층적으로 표현한 문서 목적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편.. 2022. 7. 2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