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기획의 목적
1. 이해관계자, 개발자와 원활히 소통할 수 있는 기획서 제작
2. 서비스의 전체적인 플로우부터 세부적인 메뉴구조도, 화면정의서를 통해 기획을 명확히 정의
3. 명확한 기획&소통자료로, 기획 변경사항을 기록하고 명확히 기획을 정의하여 개발 과정에 혼선 방지
내 아이디어를 다른 사람에게 상세히 전달!!
IT기획
Document history (문서 히스토리)
- 여럿이 기획할 때 필요
- 다른사람의 변경사항 파악
Menu Structure (메뉴구조)
Task Flow (테스크 플로우)
- 유저 사용의 처음과 끝, 유저 시나리오
- 서비스 전체 플로우
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구조도)
화면상에 노출되는 기능들을 계층적으로 표현한 문서
목적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편안하고 불편함없이 찾아가게 하기 위한 것
IA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지 못하면 고객은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불만족스러운 경험을 하게 된다.
반대로 IA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원하는 정보까지의 경로가 쉽고 빠르다면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충성도가 향상될 수 있다.
WireFrame (와이어프레임 제작)
선(wire)으로 이루어진 화면 구조(Frame)를 표현하는 문서
- 화면을 도식화하기 때문에 시각적인 이해
- Design Tool, Online Tool, 직접 스케치
- 최대한 기획의도 표현하기
Screen Description (화면정의서)
- 와이어프레임이 어떤 기능과 의미를 가지는지 자세히 설명한 것
= 스토리보드
Flow Chart (플로우 차트)
워크플로 or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의 한 종류
- 여러 종류의 상자와 이를 이어주는 화살표를 이용해 주어진 문제에 대한 솔루션 모델을 보여준다.
- 프로세스 작용은 이 같은 상자들과 작업의 흐름(workflow)을 나타내는 화살표 연결로 나타냄
데이터 흐름은 대체적으로 순서도가 쓰이진 않고 대신 데이터 흐름도가 쓰임
순서도는 여러 분야에서 프로세스나 문제의 분석, 디자인, 설계, 문서 작성이나 관리 등으로 활용
로그인 프로세스
가입 프로세스
초기진입 프로세스
구매 프로세스
주문 프로세스
User Flow (유저 플로우)
- 화면설계서 + 플로우차트
Funtional Specification (기능명세서)
구현해야하는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는 문서
- 해당 기능이 어떻게 작동해야하고, 작동이 되지 않았을 때 어떻게 처리하는지 기재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 분할 구조도,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0) | 2022.07.20 |
---|---|
상세기획(2) - Policy(정책) (0) | 2022.07.20 |
4. 서비스 기획자의 전문성 (1) | 2022.07.13 |
3. AI 서비스 기획 (0) | 2022.07.13 |
2. 서비스 기획자의 역량 (0) | 2022.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