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블유비에스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활동과 업무를 세분화하는 작업
= 작업분할구성, 작업분해도
프로젝트 구성 요소들을 계층 구조로 분류하여 프로젝트 전체 범위 정의
프로젝트 작업을 관리하기 쉽도록 작게 세분화
작업 패키지(work package) : 최하위 항목, 해당 업무 담당자를 할당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나눔
# WBS의 목적과 용도
- 사용자와 개발자 간 의사소통 도구로 사용함.
- 프로젝트 업무 내역을 가시화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함.
- 프로젝트 팀원의 책임과 역할이 분명함.
- 필요 인력과 일정 계획을 세우는 데 기초로 활용함.
- 개발비 산정 시 기초로 활용함.
- 성과 측정 및 조정 시 기준선으로 활용할 수 있음.
-
[네이버 지식백과] 작업 분할 구조도(WBS) - 일정 계획의 시작 (쉽게 배우는 소프트웨어 공학, 2015. 11. 30., 김치수)
# WBS 항목
1. 개요 : WBS 관리 코드, 버전, 작성 날짜
2. 구분 : 하위 항목(태스크)을 묶어주는 큰 그룹
3. 태스크 : 가장 작은 단위로 쪼개어진 세부 태스크의 명칭
4. 작업자(담당조직) : 태스크를 실제로 수생하게 될 담당자
5. 기간(시작일 및 종료일) : 태스크의 시작과 종료일자
6. 일정 차트(일정 마일스톤) : 프로젝트 수행의 전체 기간 대비 각 태스크 소요 기간을 색으로 표기
7. 비고 : 태스크 수행에 대한 예외 사항이나 제약 사항 명시
# WBS 개발절차
1. 상위 수준(High Level) WBS 작성
Top-down 방식으로 전개
해당 프로젝트의 목표를 확인
전체 개요 수준으로 WBS 작성 (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약 2~3 수준 정도)
2. 작성된 WBS로 공감대 형성
상위 수준 WBS를 기초로 이해관계자들과 WBS에 대한 공감대(Consensus) 형성
중복 or 누락된 업무 확인
타당성 검토
3. 상세 WBS 작성
상위 수준 WBS를 기초로 각 수준별 상세 WBS 작성
팀원 담당부분에 대해 작업 분해
4. 완료된 WBS 공유
상세 WBS와 상위 수준 WBS를 합쳐 완성
팀원 모두가 공유
WBS 작성 지침
- 프로젝트 수행범위가 중복·누락 되어서는 안 된다.
- 하위 수준의 요소를 합치면 상위 수준의 요소가 구성되며, 수준별로는 같은 기준과 관점으로 분해되어야 한다.
- WBS 수준 수의 관점에서 반드시 대칭이 될 필요는 없다.
- WBS의 수준은 프로젝트 규모와 관계가 있으며, 복잡성/위험/통제 필요성 간의 균형을 이루어 작성한다.
- 프로젝트 전체는 최상위 수준에서 표현하며, 상위 수준의 분류는 프로젝트 수명 주기를 적용할 수 있다.
- 각 작업 패키지는 책임자 및 원가 할당이 가능해야 한다.
- 각 작업 패키지는 1인이 통상 8~80시간 이내로 완료할 수 있는 분량이어야 한다.
- WBS는 산출물(Deliverables) 위주로 분해해 나가야 한다.
- WBS의 최하위 단위인 작업 패키지는 1개 이상의 활동(Activity)으로 구성된다.
- 기술적인 업무와 관련된 내용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관리와 관련된 모든 중요한 보고목록(검토회의, 월간 보고서, 시험 보고서 등)이 WBS에 포함되어 표현되어야 한다.
WBS 분해 수준 적합성 여부 판단
- 작업 패키지별(Work package)로 원가 및 소요 시간 추정이 가능한가?
추정이 가능하면 분해 수준이 적정한 것이다.
- 작업 패키지별로 원가 및 소요 시간 추정의 정확성을 증가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가?
추가적으로 정확성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면 좀 더 세부적으로 분해한다.
- 개별 작업 패키지는 1인이 8~80시간 이내로 완료할 수 있는 분량인가?
완료 가능하다면 분해수준이 적정한 것이다.
- 개별 작업 패키지는 1인이 수행할 수 있는가?
1인이 수행 가능하다면 분해 수준이 적정한 것이다.
- WBS 요소들 간에 작업 프로세스의 수행에서 중요한 시간적인 차이(Gap)가 있는가?
차이가 있다면 좀 더 세부적으로 분해해야 한다.
- 개별 작업 패키지의 내용이 두 개 이상의 산출물 혹은 작업 프로세스를 내포하고 있는가?
두 개 이상의 산출물을 포함하고 있다면 좀 더 세부적으로 분해해야 한다.
- 개별 작업 패키지에 대한 진행상황을 측정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이 수립될 수 있는가?
기준이 수립될 수 있다면 분해 수준이 적정한 것이다.
https://planin.co.kr/entry/WBS-Work-Breakdown-Structure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읽기 : 더블유비에스 스펠 : Work Breakdown Structure 프로젝트메니지먼트로 계획을 세울 때에 이용되는 수법의 하나로, 프로젝트 전체를 작은 작업 단위로 분할한 구성도이다. [작업분할구성], [작
planin.co.kr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토리보드 (1) - 작성point (0) | 2022.07.20 |
---|---|
제안요청서, RFP (Request For Proposal) (0) | 2022.07.20 |
상세기획(2) - Policy(정책) (0) | 2022.07.20 |
상세기획(1) - IT기획 (0) | 2022.07.20 |
4. 서비스 기획자의 전문성 (1) | 2022.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