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 서비스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합한 행동을 설계하는 것
서비스 목표: IT기술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거나 IT 혹은 프로젝트 중심의 비즈니스를 통해 수익을 발생시키는 것
서비스 기획자는?
- 디자인과 개발을 제외한 모든 일을 하는 사람으로 서비스가 목표한 대로 출시 되도록 함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의견을 조율하는 역할
"PM, Project Manager"라고도 부르는 만큼 프로젝트 전반을 담당함
서비스 기획자가 하는일은?
1. 서비스 기획
1.1 신규 서비스 기획
연도 별 로드맵 수립
서비스 관련 카운터파트오 사전 협의
예산 조달 및 관리
1.2 기존 서비스 고도화
기존 서비스에서 필요 기능 수선
새로운 아이디어 적용
주요 기능 접근성 향상을 위한 UI 시나리오 및 디자인 수정
1.3 출시한 서비스 관리
서비스 출시/업데이트 후 약 1~2주간 직접 사용하며 확인
오류에 신속하게 담당자에게 수정 요청
고객 불만 대응
2. 기술/개발 기획
2.1 서비스에 적용할 기술 검증
회사의 전략 혹은 새로운 기획에 따라 신규 기술 적용
신규 기술이 서비스 가능한 수준인지 서비스에 시범적 적용
2.2 기술을 서비스에 적용할 범위 정함
기술을 서비스에 최적화하여 적용하기 위해선 개발자와 여러 번 협의 필요
기술을 서비스에 적용할 범위 정함
2.3 기술 오류 수정
서비스 출시 전, 후에 기술 상의 이슈를 발견하면 개발자에게 수정 요청
수정 완료 후 서비스에 제대로 적용되었는지 확인
3. 운영 기획
3.1 운영 관리
운영 프로세스와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기 위해 효율적인 운영 정책
운영툴과 기술 수정
3.2 기술/기획 변화가 생기면 운영도 바뀜
새로운 기술이 적용되거나 새로운 기획이 생길 때마다 검수하는 범위가 달라짐
새롭게 검수해야 하는 부분과 운영 정책 전달
4. 통계 기반 기획
4.1 로그 모니터링 & 인사이트 도출
일별, 주별, 월별 등 정해진 기간 별로 서비스 사용 로그 모니터링
주기적 혹은 로그에 큰 변화가 있는 경우 로그 변화 history를 파악하여 원인 파악
서비스 기획 방향성을 정하기 위해 로그 분석
4.2 로그 정합성 관리
로그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개발 수정 요구
기획/개발이 수정된 후 그에 맞춰 로그 수정 개발 요청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세기획(2) - Policy(정책) (0) | 2022.07.20 |
---|---|
상세기획(1) - IT기획 (0) | 2022.07.20 |
4. 서비스 기획자의 전문성 (1) | 2022.07.13 |
3. AI 서비스 기획 (0) | 2022.07.13 |
2. 서비스 기획자의 역량 (0) | 2022.07.13 |
댓글